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3)
청년을 위한 일타삼피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등장! 이제껏 듣도보도 못한 아주 신박한 통장 하나가 등장했습니다. 바로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입니다. 말 그대로 청년에게 주택의 꿈을 실현해주는 통장이에요. 통장 하나 만들면 3개의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하나하나 짚어봅니다. 청년 주택드림의 모든 것 ▶ 첫 번째!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청년(만 19~34세 무주택자)일 경우 새로 생긴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가입합니다. 어차피 청통 하나쯤은 갖고 있어야 하잖아요? 이미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에 가입되어 있다! 그럼 자동으로 주택드림 통장으로 전환돼요. 물론 혜택은 더 좋아져요. 어떻게? 1) 가입요건 널널: 소득 3,600만원 -> 5천만원 / 무주택 세대주 -> 무주택자 2) 이자율 높음: 최대 4.3% -> 4.5% 3) 납입 많이 가..
일하는 청년을 위한 '직주근접' 제공이라고? 직장과 사는 곳이 가까운 '직주근접'. 일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꿈꾸는 단어인데요, 우리나라 3대 일자리 스팟인 여의도/강남/광화문만 보더라도 근처 집값은 하늘의 별이죠. 즉, 직주근접이란 말은 특히 서울이라면 다가가기 어려운 말인데요, 일하는 청년들의 직주근접을 실현해주는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이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직주근접을 원하세요? ▶ 정확히 뭔데? 청년일 때 창업을 많이 하죠. 창업을 한다면 돈이 많이 필요하죠. 우리나라 창업이 많이 발전하고 성공해야 미래가 밝겠죠? 그래서 '창업에만 몰두해! 사는 곳은 우리가 해결해 줄게' 라며, 정부가 나섰어요. 그리고 중소기업이나 지역산업에 일자리 부족이 심각하죠. 만약 여기서 일한다면 주거에 대한 부담을 덜어줄게~ 라는 것도 이 제도의 취지입니다..
청년이라면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에 가입하세요! 청약통장 하나쯤은 다들 갖고 있죠? 근데 청통도 다 같은 청통이 아니에요. 바로 청년만을 위한 청약통장이 따로 있답니다! 이름하여,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이에요. 기존 청통의 기능이나 소득공제 혜택은 그대로고, 청년에게만 혜택을 좀 더 부가해주는 녀석이죠. 청약통장 들고 싶은데, 내가 청년이라면, 당연히 청년 우대형 청통에 가입해야겠죠?! 청년인데 청약통장을 원해? ▶ 누가 가입할 수 있어?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 (* 22.1.3 이후 가입/혹은 전환신규하는 경우) 그리고... 작년 신고소득이 있어야 하며, 연소득 3천6백만원 이하여햐 함. 그리고... ① 본인이 무주택인 세대주 ② 본인이 무주택이며 가입 후 3년 내 세대주 예정자 ③ 무주택세대의 세대원 ▶ 가장 중요한 이자율은? 일반 ..
공연문화에 관심있는 청년을 위한 문화패스~ 대학로 많이 가시나요? 연극이나 뮤지컬 좋아하시나요? 그런데 아직 용돈을 타 쓰는 상황이라면 공연티켓비용도 참 부담되죠. 서울시가 이런 것까지 지원해 준다고? 네! 바로 '서울청년문화패스' 티켓을 지원해 줍니다. 좋을때야~ 공연 많이 보렴~ ▶ 누가 받을 수 있어? 19세 ~ 22세 그러면서 아래 사항 충족해야 함! 1. 서울 살아야 함 2.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아래 표 참고) ▶ 얼마 주는데? 공연예술(연극, 뮤지컬, 클래식·오페라, 발레·무용, 국악 등)관람이 가능한 문화이용권(20만원) 지급 신한은행에서 계좌/카드를 발급받아 전용 홈페이지[여기]에서 원하는 공연 예약가능 ▶ 언제 신청 가능해? 2023.08.25 ~ 2023.09.14 (올해는 끝! 내년을 기약해요~) 총 30,..
옥탑방이나 지하에 산다면 지원금 받아가세요 서울형 주택바우처를 아시나요? 일반바우처와 특정우처가 있는데요. 일반 바우처는 일종의 임대료 보조지원이에요. 월세로 살아가는 주거 취약층을 위해 정부가 일정 금액을 지원해줘요. 그럼 일반 바우처를 알아볼게요! ▶ 누가 받을 수 있어? -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옥탑방, 혹은 지하방에 살고 있다면 고려해 보세요. ※ 잠깐! 도시형 생활주택은 뭔가요? 혼자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니 그들을 위해 저렴한 가격의 집을 짓는 거예요. 규제를 덜 빡빡하게 적용해 필요한 곳에 신속하고 저렴하게 주택을 공급해요. 300세대 미만이고 전용면적 84㎡ 이하의 국민주택 규모예요. 자세히 보기> [두부레터] 매매 vs. 전세 선택은? 두부먹고 부동산 한 걸음 더 stibee.com - 월세 보증금이 1억 1천만원 이하여야 해요. 월..
1인가구라면 '이것'까지 받아가세요! 생각보다 정부 지원 혜택의 옵션들이 많아요. '이런 것까지 해준다고?'를 담아봅니다. 서울에 1인가구로 사는데 기준 중위소득이 120% 이하다! 그렇다면 3가지 혜택 옵션이 있습니다.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20%는 2,493,470원 이에요. 즉 내가 서울에 혼자사는데 월급 250만원 이하라면 통과~ 1인 가구를 위한 혜택 3가지 ▶ 옵션 3개는 무엇이죠? 옵션1) 불편한 게 있다면 처리해 줄게요! 예를 들어, 형광등·콘센트·손잡이·경첩을 교체해야 하는데 도저히 못하겠다, 커튼·블라인드·방범창 설치해야 하는데 도저히 못하겠다 등 어떻게 해결해 주냐고요? 불편사항을 접수하면 코디네이터가 방문하여 '아 이거 정말 필요하네' 싶으면 홈케어 또는 클린케어 서비스를 연결해줘요. 그리고 소액의 소모품 교체..
전세사기 피해 당했다면 가만있지 마세요! 올해 들어 가장 많이 들은 말이 '전세사기'일 겁니다. 굉장히 심각한 이슈로 떠올랐는데요, 그래서 전세사기 피해 지원 특별법이 나왔어요. 내가 만약 아래에 해당한다면 망설이지 말고 적극 신청하세요! 우선, 뭐 하나 짚고 넘어갈게요. 전월세 계약을 할 때 가장 필수적으로 해야 할 것이 '전입신고'와 '확정일자'입니다. 전입신고는 '나 앞으로 여기에 살거예요'라고 신고하는 것, 확정일자는 임대차 계약에 대해 법적인 증거력을 가지는 법률상의 날짜로, 해당 날짜 이후부터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어요. 즉, 내가 여기 살고있다는 증거와 법적 보호를 받고 있다는 징표가 중요하겠죠?! 그럼 어떻게 신고하냐! 새로운 거주지로 이사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해당 거주지의 읍사무소, 면사무소, 동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정부..
취준생이라면 월 50만원씩 받아가세요 대학 졸업 후 취업이 바로 되지 않는다면 적절한 소비활동을 하기 힘듭니다. 어느정도의 소비활동을 해야 더욱 진취적으로 취업을 준비할 수 있는 거고요. 그래서 이런 취준생을 위해 서울시에서 '청년수당'이란 걸 줍니다. 생각보다 금액이 쏠쏠하며, 신청기간이 정해져있으니 미리미리 체크하시면 좋아요. 취준생을 위한 청년수당 ▶ 얼마 주는데? 월 50만원씩 최대 6개월 -> 다 받으면 300만원이나, 그 전에 취업하는 게 좋겠죠? ▶ 누가 받을 수 있어? 말 그대로 미취업 취준생, 그리고... 주민등록상 서울시에 거주하는 고교·대학(원) 졸업자 만19~34세(출생일이 1988년 6월 1일 ~ 2004년 6월 30일인 자) 중위소득 150%이하 -> 취업을 안했는데 소득은 왜 보는가? 라고 한다면, '청년수당'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