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년 지원 정책(주거)

서울 전세보증금 보험 가입한 청년이라면 보험료까지 챙기세요!

청년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사업을 아시나요?

 

청년전세보증금반환보증

 

전세를 계약했다면 전세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을 꼭 들어두는 것이 좋아요.

 

이 보증을 들 때 보험료를 내야 하는데요, 서울에 사는 청년이라면 보증보험료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답니다. 

알아야 써먹는 혜택, 시작할게요!

 

 

 

 

▶ 누가 청년이야?

만 19~39세 

 

갖춰야 할 자격은?

 

주민등록상 서울시 거주자 + 무주택자 + 전세보증금이 3억 이하인 집 + 본인 연소득 5천만원 이하(신혼부부는 합산 7천만원 이하) + 2023년 1월 이후 현재 전셋집 보험 가입을 하고 보증료를 모두 납부한 자

 

얼마 지원해줘?

보증보험료 중 최대 30만원

 

어떻게 신청해?

 

1) 전세 계약을 한 후 보증기관에서 보증보험에 가입한다. 보증기관은 아래 3개

    HUG : 전세보증금반환보증서, HF : 전세지킴보증서(전세보증금반환보증서), SGI : 전세금보장신용보험증권

2) 여기 혹은 관할구청에서 보증료 지원 신청을 한다.

 

신청 서류는? 

 

1) 내가 가입한 보증기관에서 가입보증서를 뗀다.

   * 만약 가입보증서에 얼마 냈는지 금액이 안 적혀 있다면 보험료 납부 증빙서류를 별도로 뗀다.

2) 전세 계약한 임대차계약서를 준비한다.

3) 등기부등본도 뗀다.

4) 결혼을 했든 안했든 혼인관계증명서를 무조건 뗀다.

5) 소득을 증명해야하니 전년도 소득금액증명원을 뗀다. 만약 소득이 없다면 '사실증명'을 제출한다. 홈텍스나 동주민센터에서 해준다.

6) 본인 명의의 통장 사본을 준비한다.

 

 


 

한 줄 정리

전세 계약을 했다면 혹시 모를 위험에 대비해 꼭 들어야 하는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이것도 보험이니 보험금을 내야 하는데요, 서울 사는 청년이라면 보험금 일부도 지원받을 수 있다하니 알뜰살뜰 챙기자고요!

 

 

더 궁금한 건 [청년몽땅정보통]에서